교육과定義(정의) 전반적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08:44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hwp
㈐ 특별 활동은 자치 활동, 適應(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한다. 지금까지는…(투비컨티뉴드 )
교육과정의,전반적,이해,사범교육,레포트
교육과定義(정의) 전반적 이해
레포트/사범교육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사범교육레포트 ,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
Download :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hwp( 68 )
교육과定義(정의) 전반적 이해
설명






다.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교육과definition 전반적 이해
1.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 배당
가. 편제
나. 시간 배당 기준
2.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나.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의 구성?운영
1.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 배당
가. 편 제
⑴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 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한다.
중학교에서의 재량 활동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 편제되었던 선택 교과가 재량 활동의 교과 재량 활동 영역에 포함되었다.
㈎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로 한다.
【 해 설 】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definition 도입
제7차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 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따 초등 학교 1학년부터 고등 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 중에는 학교급별 concept(개념)이 아니라 학년제 또는 단계 concept(개념)에 기초하여 일관성 있게 교육과정 체제를 갖추었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definition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의 10개 기본 교과로 조직되었다. 특별 활동은 자치 활동, 適應(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하였다.
⑵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은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으로 편성한다.
㈏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한다.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definition 편제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은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의 3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따 종래의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와 특별 활동의 2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러한 고정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운영의 자율?재량 권한을 확대시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