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법요약(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2:46본문
Download : 전문법정리(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hwp
7) 초성 17자 체계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
어금닛소리(牙音)
ㄱ
ㅋ
?
ㄲ
혓소리(舌音)
ㄷ
ㅌ
ㄴ
ㄸ
입술소리(脣音)
ㅂ
ㅍ
ㅁ
ㅃ
잇소리 (齒音)
ㅈ,ㅅ
ㅊ
ㅉ,ㅆ
목구멍소리(喉音)
?
ㅎ
ㅇ
?
반혓소리(半舌音)
ㄹ
반잇소리(半齒音)
?
①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은 각 현대의 예사소리(평음), 거센소리(겪음), 울림소리(유성음), 된소리(경음)에 대체로 일치한다. 전탁 6자는 글자 운용법에 의해 만들어 쓰는 자로 분류된다 (竝書, 나란히 쓰기) 위 도표의 23 초성체계는 「동국정운」의 초성체계와 같…(省略)
전문법정리,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인문사회,레포트
전문법요약(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
설명
다. 곧 초성은 세로로는 아, 설, 치, 후, 반설, 가로로는 전청, 차청, 불청 불탁의 순서에 따라, 중성은 천지인의 순서와 양?음, 초출, 재출의 원리에 따라 배열되었다.
③ 초성 17자 체계에는 전탁 6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5) 창제의 목적
① 자주, 애민, 실용정신
② 국어의 전면적 표기(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포함)
6) 글자(字母)의 수
① 초성 17자, 중성 11자 :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에서는 중국(China) 운학의 체계에 따른 순서대로 배열되었다.
Download : 전문법정리(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hwp( 34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Ⅰ옛말의 문법
1. 문자와 말소리
가. 문 자
(1) 훈민정음(訓民正音)
1) 명칭
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
② 책이름 「訓民正音」 = 해례본(한문본) :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2) 연대
① 세종 25년 (1443년) 음력 12월 창제
② 세종 28년 (1446년) 음력 9월 상한(양력 10월 9일) 반포(=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3) 창제자 세종
4) 창제의 배경
① 借字表記法(향찰, 이두, 구절)
② 국어 음운 구조의 복잡성(특히 종성이 복잡해서 차차 표기법으로는 국어를 충실히 적을 수 없었다. , 전문법정리(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인문사회레포트 , 전문법정리 학교문법론 +중세국어문법
전문법요약(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전문법정리(학교문법론,+중세국어문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② 아?설?순?치?후의 5음은 각각의 소리의 조음에 주로 관여한 기관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