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here.kr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 gohere6 | gohere.kr report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 gohere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ohere6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00:02

본문




Download :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hwp






Download :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hwp( 23 )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Ⅱ. 전출과 전적의 유효요건

1. 의의
사용자는 근기법 제30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근로자를 전출?전적시킬 수 없으며, 정당한 사유의 존재여부는 다음과 같다.

2. 논의의 necessity
전적과 전출은 기업의 계열화, 구조조정에 따른 노동력 재배치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바,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큰 change(변화)를 초래하고 있어 그 유효요건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 근로자보호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본다.

2) 전…(투비컨티뉴드 )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순서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전적과,전출에,대한,근로기준법상,검토,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기업간의 인사이동으로 전적?전출이 있따 전출은 원래의 소속기업에 재적한 채 타기업의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고, 전적은 원래의 기업과 근로계약관계를 종료시키고 다른 기업과 새로운 근로계약관계를 성립시키는 것을 말한다.

3. 근로자의 생활상 불이익과의 비교형량
전적?전출이 업무상의 necessity 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업무상의 necessity 과 근로자의 생활상의 불이익을 비교?형량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생활상 불이익이 근로자가 통상 감수할 정도를 현저하게 벗어난 것이라면 이는 권리남용에 해당되어 무효가 될 수 있따

4. 근로자의 동의

1) 전출의 경우
‘근로자의 동의’는 개별적 동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전에 포괄적 동의가 추단되면 동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단순히 ‘전출을 명할 수 있다’는 취업규칙상의 규정은 포괄적 동의를 추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즉 전출근로자의 보호를 위해 당해 전출은 통상 예상되는 범위 내이어야 하고, 근로자가 실제로 근무하게 될 기업에서의 임금 기타 근로조건, 전출기간, 원래의 기업으로의 복직 등에 관한 전출규정이 사전에 마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기법상 전적과 전출에 대한 법적검토 - 전적과 전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_hwp_01.gif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_hwp_02.gif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_hwp_03.gif 근기법상전적과전출에대한법적검토_hwp_04.gif
다.

2. 업무상 necessity 과 근로자의 적격성 존재
전적?전출은 사용자측의 사유로서 업무상 necessity 이 있어야 하며, 그 업무상 necessity 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당해 근로자에게 능력이나 적성 등의 적격성이 있거나 근로자가 특별히 지원한 경우이어야 한다.
전체 12,55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oher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