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0:13본문
Download :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hwp
2) 그는 학교학습의 목적을 학습자의 지적 성장, 즉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보았다.
Download :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hwp( 28 )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설명
순서
Bruner의 발견식 교수theory(이론)
1. theory(이론)의 기본적 전제
(1) 학교학습의 목적
1) 인지theory(이론)에 근거하고 있는 브루너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강조한다.
2. 교수theory(이론)의 네 가지 …(생략(省略))
![[교육학]%20Bruner의%20발견식%20교수이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Bruner%EC%9D%98%20%EB%B0%9C%EA%B2%AC%EC%8B%9D%20%EA%B5%90%EC%88%98%EC%9D%B4%EB%A1%A0_hwp_01.gif)
![[교육학]%20Bruner의%20발견식%20교수이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Bruner%EC%9D%98%20%EB%B0%9C%EA%B2%AC%EC%8B%9D%20%EA%B5%90%EC%88%98%EC%9D%B4%EB%A1%A0_hwp_02.gif)
[교육학],Bruner의,발견식,교수이론,사범교육,레포트
다.
5) 유목화는 분류체계를 발달시킬 수 있게 해준다 : 사물의 속성에 근거해서 분류하고 통합하는 능력은 분류체계를 발달시킬 수 있게 해 주는데, 이러한 분류체계는 정보의 파지, 발견, 전이 등의 인지과정을 돕는다.
3) 학습자는 유목화를 통해 많은 정보를 분류하고 통합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유목과 속성
1) 그는 학생들이 수업 결과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을 유목화(categorized)능력이라고 보았다. ,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
레포트/사범교육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theory
[교육학] Bruner의 발견식 교수theory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2) 유목이란 定義(정의) 을 뜻하는 것이며, 유목화란 사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분류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유목화의 advantage(장점)
1) 유목화는 복잡한 環境을 단순화시킨다 : 예를 들어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상황을 ‘군중’이라고 표현한다거나, 복잡한 시내 중심가를 ‘도심’이라고 표현하면 아주 간단하게 그 현상을 기술할 수 있게 된다
2) 유목화는 대상의 재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 대상을 속성에 근거하여 유목으로 인식해 두면 이를 다시 인식하기가 쉽다. 펜을 펜이라고 유목화할 때 그 외의 다른 펜들도 종이 위에 글을 쓰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4) 유목화는 도구적 활동의 방향을 잡아 준다 : 예를 들어 분필(가루)을 재인식하게 되면 폐에 좋지 않다는 것을 상상케 하고 이를 피하게 해준다.
3) 유목화는 계속적인 학습의 필요성(必要性)의 감소시킨다 : 사물의 속성에 근거하여 유목화를 하면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 실제적인 학습을 하지 않고도 대상의 재인식이 가능해져, 제공된 정보를 넘어서는 학습이 가능해진다. 글을 쓰는데 사용되는 것을 펜이라고 인식해 두면 이의 재인이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