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기술] 한국의 교량 / 교량의 미학 강의 data(자료) 1. 한국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6:45
본문
Download : 한국의 교량, 교량의 미학 강의 .hwp
ㆍ 선조들은 일찍이 교량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적 체계를 갖추었던 것으로 추정
설명
1. 한국의 교량
교량의 미학 강의 data(자료) 1. 한국의 교량 ㆍ 역싸적 관점에서 1900년을...
ㆍ 1900년 이 후 현대식 교량의 도입으로 독특한 양식의 소멸
ㆍ668년 삼국통일 후 국학(國學)에서...
- 413년 경 평양주대교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586년 장안성(현 평양) 축조 후 구제궁에 통한교, 연우교, 청운교, 백운교 등 교량건설
공과기술 한국의 교량 / 교량의 미학 강의 자료 1. 한국의
ㆍ 역사적 관점에서 1900년을 기준으로 옛 교량과 현대 교량의 구분
- 5세기 무렵 대동강에 교폭 9m, 교장 375m의 세계적 규모의 木橋 건설(다리터 발견)
- 597년 귀신을 시켜 하룻밤만에 건설하였다는 석재 교량인 鬼橋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공과기술] 한국의 교량 / 교량의 미학 강의 data(자료) 1. 한국의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문천교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아들인 설총의 출생과 관련(삼국유사), 최근 교량터 발견
교량의 미학 강의 자료(data)
ㆍ낙랑시대 - 평안도, 황해도 등지의 전실물에 아치구조
- 498년 백제의 웅진성(현 공주)에 웅진교 건설 (삼국사기), 부여로 도읍을 옮긴 후에도 많은 교량 건설하였으며 교량건설 기술을 日本(일본)에 전수한 것으로 전해짐.
순서
- 조선초 도로 및 교량 건설 또는 관리 담당 부서 설치
- 수나라 양제가 요수에 주교(현 부교) 건설 후일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주교로 이어짐
- 600에서 641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교량터 발견 익산 미륵사지
교량의 미학 강의 자료 1. 한국의 교량 ㆍ 역사적 관점에서 1900년을...
(2) 통일 신라 시대
ㆍ 관리부실 역사적, 기술적, culture적, 미적 의미를 지닌 옛교량들의 황폐화
(1) 삼국시대의 교량
- 형식, 경간수, 바닥판, 난간, 조형물, 아치의 높이 지간비
Download : 한국의 교량, 교량의 미학 강의 .hwp( 98 )
ㆍ 여러 기록들
ㆍ 1960년대 경제발전과 더불어 서울시 가로망 요점과정 중 옛 교량 철거, 매몰, 이전.





ㆍ삼국시대 이전 기록은 없으나 고인돌, 석관묘, 적석묘, 옹관묘, 토관묘 등의 구조로 미루어 교량건설 기술을 습득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
- 삼국사기 기원전37년 자라다리에 관한 표현 중 “橋”라는 용어사용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