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1:40
본문
Download : 환경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hwp
skeleton은 방의 중앙부에 보가 돌출되지 않은 flat한 구조이며, 칸막이 위치를 변경할 때 지장이 되지 않도록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아
Corner Village는, one room에서 2 LDK (일부3 LDK)까지를 입주자가 가동수납벽에서 자유롭게 만들어내는 것을 특색으로 한 민간임대 공동주택이다. 간막이형 옷장의 하부에 caster를 붙이고, 거주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가동벽이나 door를 실현하고 있다아
후츄우시영 다카키 제1주택은, 고급혼례가구로서 알려지는 후츄우 가구라는 지방산업을 살려 간막이형 수납가구를 개발하여, 이것을 공영주택에 적용하므로서 주호의 가변성과 호환성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1. 서
2. SI의 theory 적 고찰
2.1 SI의 개념(槪念) 및 정이
2.2 S(Skeleton)과 I(Infill)의 구분 기준
3. 環境친화 건축과 SI의 상관관계
3.1 건축산업이 環境에 미치는 영향
3.2 기존건축시스템과 순환형 건축시스템
3.2.1 기존건축물의 시스템
3.2.2 순환형건축시스템과 자원순환형 건축시스템
3.3 자원순환형건축 기술
3.3.1 장수명화 및 고내구성기술
3.3.2 폐기물 발생억제기술
3.3.3 적정한 재사용 및 재생활용 기술
3.3.4 완전 Recycle 주택(Perfect Recycle House; PRH)
4. SI 주택의 특징example(사례)
4.1 Skeleton으로 부터의 관점
4.2 Infill의 특징
4.3 리모델링이 용이한 SI주택 설계기준
4.3.1 skeleton주택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4.3.2 Skeleton주택의 특징
5. 결
서지사항
인필은 10~30년 정도의 cycle에서의 변경이 상정되어 있지만, 대규모 개수공사를 하지 않더라도 인필을 변경할 수 있는 예도 있다아
종래형의 집합주택에서는 skeleton과 인필의 분리가 명확하지 않고, 간단한 방의 배치 변경의 연구도 없기때문에 가족구성이 변하더라도 입주 당시 방의 배치의 범위내에서 變化(변화)를 할 것인가, 새로운 주택으로 옮길까, 또는 변경의 rule이나 순서가 정비되어있지 않은 주호내장을 대규모로 개수할것인가를 선택하여야 한다.
칸막이 panel을 사용한 예로서 與野本町西가 있다아 물처리 space는 고정이지만, 다른 부분은 one room으로 되어있고, 그 벽면에는 사전에 7장의 목제창호가 설치되어 있다아 입주자는 필요에 따라 rail이 있는 위치에 자유롭게 창호를 짜 바꾸는 system으로 되어있다아 방을 칸막는 위치는 한정되어 있지만, 어느 부분을 어떻게 간막이할까는 입주자의 자유이며, 갖고 있는 가구에 의한 칸막이도 가능하다.환경친화적리모델링기술연구 , 환경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environment친화적리모델링기술연구
environment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
SI의 concept(개념),定義(정의)를 제시하고 environment친화 건축과 SI상관관계를 살펴보고 environment에 미치는 影響과 여러가지 기술들을
다.
히가시오사카 요시다(吉田) 2단지(오사카 주택공급공사 차세대 도시형 집합주택)은 2단계공급의 임대분야로서 계획된 것으로, skeleton측에서 물처리 공간 1실만을 고정하였으며, 후에는 입주자가 가동수납가구와 간막이 panel로 방을 자유롭게 칸막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투비컨티뉴드 )
SI의 개념,정의를 제시하고 환경친화 건축과 SI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여러가지 기술들을자세히 작성한 글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환경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hwp( 21 )
,인문사회,레포트
자세히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