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지능theory 의 교육적 함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1:05본문
Download : 현대지능이론의 교육적 함의.hwp
순서






Download : 현대지능이론의 교육적 함의.hwp( 96 )
*목 차
Ⅰ. 서론
1.지능의 관념
2.지능理論(이론)의 발달사
3.전통적 지능理論(이론)
4.전통적 지능理論(이론)의 평가
Ⅱ. 본론
1.현대지능理論(이론)의 기본 가정 및 관점
2.Sternberg : 지능3원理論(이론)
3.Gardner : 다중지능理論(이론)
Ⅲ. 結論(결론)
1.교육goal(목표) 에서의 시사점
2.교육내용구성 및 교육방법에의 시사점
3.교육평가에의 시사점
<참고 문헌>
6) 다중지능 理論(이론)의 한계점
첫째, 지능의 종류를 추출할 때 객관적 요인analysis이 아닌, 주관적 기준에 의해 분류했다.
둘째, 다중지능理論(이론)에서는 학업이나 직업에 유용한 방향으로 지능을 분류하지만 어떤 종류의 지능도 측정(measurement)해 보면 서로 독립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다. 이 비판에 대해 지능이 서로 독립적이지 못한 이유로 지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measurement)하지 않고 한 가지 평가형태, 즉 지필검사로만 측정(measurement)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이 비판에 대해 Gardner는 ETS와 같은 객관적인 측정(measurement)방법에서처럼 단순히 양적 자료(資料)를 이용하여 나온 점수결과를 가지고 요인analysis을 하면 높은 상관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양적인 정보며 인간의 지능이 무엇인지 질적으로 설명(explanation)해 줄 수 없다고 반박하였다.현대지능이론의교육적함의 , 현대지능이론의 교육적 함의인문사회레포트 ,
현대지능theory 의교육적함의
현대지능theory 의 교육적 함의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지능theory 의 槪念과 발달사를 알아보고 현대지능theory 의 기본 가정 및 관점에 대해 조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다시 말하면, 한 가지 측정(measurement)방법으로만 지능을 측정(measurement)하면 측정(measurement)방법에 影響을 받아서 각 지능이 서로 연관되는 것처럼 나타난다는 …(To be continued )
지능이론의 개념과 발달사를 알아보고 현대지능이론의 기본 가정 및 관점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