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이론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0:30본문
Download : 판단이론에 관한 연구.hwp
그 차이가 신기하리 만큼 큰 데 대해 놀랄 것이다. 1. Helson의 adaptation(적응) 수준theory (Adaptational Level Approach)
1) adaptation(적응) 수준theory 의 기본가정
판단theory 의 원리는 adaptation(적응) 수준theory 으로 설명(說明)된다 이 theory 의 기본이 되는 가정은 모든 물체는 의미 있는 순서로 배열된다는 데에 기반을 둔다. 마찬가지로 뜨거운 물 속에 담그었던 손은 더운물에 adaptation(적응) 하게 되어 다른 물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차갑게 느껴지게 된다 그러므로 양손의 서로 다른 adaptation(적응) 수준…(drop)
,기타,레포트
판단이론에 관한 연구
판단이론에관한연구 , 판단이론에 관한 연구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Download : 판단이론에 관한 연구.hwp( 36 )
판단이론에관한연구






다. 예컨데, 손을 찬 얼음물 속에 넣음으로서 손은 찬물에 adaptation(적응) 을 하게 되어(따라서 이제 얼음물이 중간이나 정상으로 느껴지고) 상대적으로 다른 물의 온도는 더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제 손을 꺼내 두 손 모두 미지근한 물에 넣어 보라. 같은 물인데도 왼손은 뜨겁게 오른 손은 차갑게 느껴진다.
3) 자극에 대한 adaptation(적응) 수준 방향에 따른 효능
(1) 대비효능(contrast effect)
adaptation(적응) 수준이 어떤 자극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새로운 자극들의 판단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물체가 adaptation(적응) 수준으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것처럼 판단되는 현상을 대비효능(contrast effect)라 한다. 즉, 어떤 사물이든지 가벼운 것에서부터 무거운 것, 짧은 것에서 긴 것, 차가운 것에서 따뜻한 것 등 일정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사물에 대한 판단은 그러한 순서상의 심리적인 중립수준, 이른바 ‘adaptation(적응) 수준’에 맞추어 내려지게 된다
2) adaptation(적응) 수준theory 에의 실례
얼음물, 미지근한 물, 따끈한 물을 한 대접씩 준비한다. 물의 온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차가운 물 속에 담그었던 손은 찬물에, 뜨거운 물 속에 담그었던 손은 더운물에 adaptation(적응) 되어 미지근한 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뜨겁게 혹은 차갑게 느껴지기 때문일것이다 즉, 같은 미지근한 물 속에 손을 넣더라도 손이 먼저 어디에 ‘adaptation(적응) ’되었느냐에 따라 그 온도가 서로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다. 그리고 왼손을 차가운 물에, 오른 손을 뜨거운 물에 넣고 잠시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