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학의 property(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8:01
본문
Download : 국어교육학의 특성.hwp
1945년의 8?15 광복을 계기로 국어과교육에 대한 연구는 활기를 되찾게 되었다. 1911년에 공포된 제1차 조선어교육령에서 국어를 조선어로 개칭하는 동시에 일어를 국어로 개칭하였으며, 1937년에는 조선어를 수의과목으로 고치고, 그 이듬해에는 교내외에서의 조선어 사용을 금지하였다. 광복에서부터 1955년까지의 국어 교과 교육 연구는…(생략(省略))
국어교육학의,특성,사범교육,레포트
설명
국어교육학의 property(특성)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다. , 국어교육학의 특성사범교육레포트 , 국어교육학의 특성
Download : 국어교육학의 특성.hwp( 68 )
제1장|국어교육학의 特性
1.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1) 국어과 교육의 질적 改善을 위한 노력
국어교과 교육에 대한 연구는 갑신정변(1884년) 이후의 개화기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아 1895년에 고종의 교육에 관한 칙서가 내려진 뒤 학부 관제와 각급 학교 관제가 정해졌는데, 이 시기 소학교의 국어 관계 과목으로는 독서, 습자, 작문 등이 있었다.국어교육학의 property(특성)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국어교육학의 특성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906년에는 소학교령을 폐지하고 보통학교령을 공포하였는데, 이 시기에 사용된 보통학교의 국어 교과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강윤호, 1973).
일상수지日常須知의 文字와 文體를 知케 하며, 정확히 思想을 표창表彰하는 능력을 養하며, 겸하여 德性을 함양하고, 보통지식을 교수敎授함으로 요지要旨를 함이라. 발음을 正케 하고 日常 필수必須한 文字의 독법讀法과 서법書法을 知케 하며 又 정당한 언어를 연습케 함이라. 작문作文 급 습자는 각기 교수敎授 시간을 구별하되 특히 주의하여 호상련락케 함을 요함이라 作文은 국어, 한문과 기타 교과목에서 敎授한 사항과 學徒의 日常 見聞한 사항 及 處世에 필요한 사항을 기술케 하되 其 行文은 평이케 하고 취지를 명료케 함을 요함이라. 習字에 用하는 漢字의 書體는 楷書書하는 時는 其 字形 급 字行을 正케 함을 要함이라 (施行 規則 제2장 敎科 及 編制 제1절 敎則 제9조).
위에서 살펴본 국어 교과과정으로 미루어 보아 국어 교과 교육의 目標(목표)와 내용에 대한 연구가 이 시기에서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아 그러나 일제 암흑기에는 일제의 조선어 말살 정책으로 인하여 국어 교과 교육에 대한 연구는 침체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