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here.kr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 > gohere4 | gohere.kr report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 > gohere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ohere4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4:19

본문




Download :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hwp





「균…(省略)
향가를 중심으로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특히 사뇌의 말 뜻에 대하여는 이를 향찰 표기로 보아, 그것의 풀이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견해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렇기 때문에 8,9행으로 된 당서는 뜻이 없어 글에 함축됨이 있고, 열한마리의 향가는 말이 깨끗하고 글귀가 고우니 보현십원가의 작품을 일러 사뇌(사뇌)라 부른다. 이 해는 균여 나이 45세였으니 돌아가시기 6년 전 일이며, 바로 광종(광종)18년이다. 그런데, 이들 용어에 대한 뜻을 분명히 드러내지 않고, 혹 그 뜻을 밝혔다 하더라도 그 속뜻을 쉽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가의 명칭으로 쓰이는 것에 혼동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송력 8년(967) 1월에 최행귀가 쓴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신라말고려초문학15 ,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인문사회레포트 ,






신라말고려초문학15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가 紹介

2. 향가의 뜻

3. 최행귀의 한시 번역

4. 균여의 향가 형식 ‘三句’ 와 ‘六名’

5. 균여 향가의 특징

6. 「균여전」의 문학사적 의의

Ⅲ. 結論(결론)


<출처>



2. 향가의 뜻
향가(향가)란 용어가 처음 문헌에 드러난 것은 「균여전」(균여전, 1075)이다. 향가와 사뇌가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문헌에 쓰인 용례들을 비교해 보겠다.신라말, 고려초의 문학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1.gif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2.gif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3.gif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4.gif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5.gif 신라말,%20고려초의%20문학_hwp_06.gif

Download :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hwp( 94 )


향가를 중심으로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향가의 문학적 해석」, 최철, 1990.

향가와 사뇌가라는 용어가 나타난 문헌은 「삼국유사」「삼국사기」「균여전」등이다.
전체 12,41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oher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