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고져 / -과뎌의 의미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4:46본문
Download : 중세국어 -고져 -과뎌의 의미 기능.hwp
이처럼 ‘-고져/-과져’에서 재analysis(분석) 된 형태소 ‘-져’는 공동법어미 ‘-져’이든 보조동사 ‘지-’에 부동사가 통합된 형태이든 간에 의미론적으로 ‘바람(願望)’을 공집합으로 가지고 있어 ‘-고져/-과져’의 의미가 여기에서 나온 것으로 보여지며 이를 통해 ‘-고/-과’가 통사론적 기능의 변별성을 드러내는 요소임을 추론케 해준다.
,인문사회,레포트


중세국어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의 변별성을 엄격한 형태소 분석과, 두 구문상의 제약현상을 통해 설명(說明)적 충족성을 기할 것이며, 아울러 재분석된 형태소들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비록 심층에서 접속의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두 형태소의 잉여형태소인 부동사 ‘-아’로 말미암아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이 변별된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의도법 어미 ‘-오/우-’에 선어말어미 ‘-거-’가 연결된 ‘-과-’의 경우 역시 ‘-과뎌’의 ‘-과-’와는 이질적인 형태소이다. 즉, ‘-고져’는 겸양법 선어말어미 ‘--’이 앞설 수 있으나 존경법 선어말어미 ‘-시-’는 앞설 수 없다.
순서
1. 머리말
2. ‘-고져/-과뎌’의 형태론적 특징
3.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형태론적 결합의 제약)
4. 맺음말
‘-져 > -쟈’는 이 글의 논의 대상인 ‘-고져 > -고쟈 > 고자’의 ‘-져’와 동일한 변천 양상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과뎌’ 구문에는 존칭의 선어말어미 ‘-시-’가 앞설 수 있고 ‘--’은 앞설 수 없는 반면에 의도법의 ‘-과-’는 이와는 배타적으로 선어말어미와의 연결 제약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일것이다
3.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형태론적 결합의 제약)
‘-고져/-과뎌’ 구문은 우서 형태론적으로 다른 어미와의 결합에 제약을 받는다. 그러나, 의미론적으로 공동법의 ‘-져’도 ‘-고져’와 마찬가지로 화자의 바람(願望)이 전재되는 상황에서 함께 할 것을 요구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중세국어에서 ‘-과-’는 명사구 접속의 공동격 조사와, 의도법 ‘-오/우-’에 ‘-거/-어’가 연결된 ‘-과/-와’가 있다 ‘-과’는 명사구 접속의 역할로 명사구의 서술어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는데 동사구 접속 또는 명사구 접속의 ‘-고’와 심층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와는 달리 ‘-…(drop)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중세국어 -고져 -과뎌의 의미 기능.hwp( 37 )
중세국어 -고져 / -과뎌의 의미 기능
중세국어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의 변별성을 엄격한 형태소 분석과, 두 구문상의 제약현상을 통해 설명적 충족성을 기할 것이며, 아울러 재분석된 형태소들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고져’의 한 요소인 ‘-져’와 형태만 동일할 뿐 의미 기능은 이질적이다. , 중세국어 -고져 / -과뎌의 의미 기능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