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here.kr [정약용] 목민심서 > gohere3 | gohere.kr report

[정약용] 목민심서 > gohere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ohere3

[정약용] 목민심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18:24

본문




Download : 1목민심서[1].hwp




ƒ. 정약용에 대해 정약용(丁若鏞/1762~1836)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본관 나주. 자 미용·송보. 초자 귀농. 호 다산(茶山)·삼미(三眉)·여유당(與猶堂)·사암(俟菴)·자하도인(紫霞道人)·탁옹(翁)·태수(苔)·문암일인(門巖逸人)·철마산초(鐵馬山樵). 가톨릭 세례명 요안. 시호 문도(文度). 광주출생. 1776년(정조 즉위)남인 시파가 등용될 때 호조좌랑에 …(투비컨티뉴드 )



[정약용] 목민심서



1목민심서[1]_hwp_01.gif 1목민심서[1]_hwp_02.gif 1목민심서[1]_hwp_03.gif 1목민심서[1]_hwp_04.gif 1목민심서[1]_hwp_05.gif 1목민심서[1]_hwp_06.gif



순서

* 머릿말 *, , 1. 정약용에 대해, 2. 목민심서의 내용, 3. 집필목적과 배경, 4. 현대 사회와 목민심서, filesize : 38K




목민심서,조선,정약용,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 머릿말 *, , 1. 정약용에 대해, 2. 목민심서의 내용, 3. 집필목적과 배경, 4. 현대 사회와 목민심서, FileSize : 38K , [정약용] 목민심서인문사회레포트 , 목민심서 조선 정약용
설명

Download : 1목민심서[1].hwp( 59 )




* 머릿말 *

1. 정약용에 대해
2. 목민심서의 내용
3. 집필목적과 배경
4. 현대 사회와 목민심서

목민이란 백성을 기른다는 뜻이다. 저자의 《경세유표(經世遺表)》가 정부기구의 제도적(制度的) 개혁론을 편 것이라면, 이 책은 지방 관헌의 윤리적각성과 농민경제의 정상화 문제를 다룬 것이다. 따라서 목민관이란 백성을 가장 가까이에서 다스리는 고을의 수령을 뜻한다. 이 책은 저자가 순조 때 천주교 박해로 전남 강진에서 귀양 생활을 하는 동안에 저술한 것으로, 조선과 중국(中國)의 歷史(역사)서를 비롯하여 여러 책에서 자료(資料)를 뽑아 수록하여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행정을 쇄신코자 한 것이다. 또한 심서란 귀양살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목민할 마음만 있을 뿐 몸소 실행할 수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체 12,46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oher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