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18:28본문
Download : 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hwp
따라서 歷史(역사)적으로 볼 때 文化(culture) 의 영역에서 ‘남성의 文化(culture) ’라고 표시되는 부분은 별로 눈에 띠지 않는 반면 ‘여성의 文化(culture) ’라고 표시되는 부분들은 저급하고 경멸스러운 동시에 보편적이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여성이 주된 소비자들인 멜로 영화, TV 연속극, 여성잡지 등이 폄하되면서 theory 적, 비평적 주목을 받지 못해온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레포트/법학행정
up스크린안팎의여성이미지와여성관객성
,법학행정,레포트
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up스크린안팎의여성이미지와여성관객성 , 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순서
다. 그들은 멜로를 논의할 때, 텍스트에 대한 analysis에만 머무르지 않고 텍스트 생산을 둘러싸고 작용하는 다양한 컨텍스트들은 물론이고 젠더화된 집단으로서의 여성 관객의 수용 과정에도 주목했…(skip)
Download : 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hwp( 97 )
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에 대한 reference(자료)입니다.스크린 안팎의 여성이미지와 여성관객성
1. 멜로드라마 장르와 시네 페미니즘의 theory 적, 비평적 개입
2. 한국의 에로영화 텍스트 analysis: <너에게 나를 보낸다>와 <처녀들의 저녁식사>
1. 멜로드라마 장르와 시네 페미니즘의 theory 적, 비평적 개입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은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남성의 ‘타자’, 남성이라는 기호의 ‘잉여물’ 또는 ‘남성적 상상계의 증후’라는 식으로 정의(定義)되고 재현된다 즉 남성은 文化(culture) 적, 사회적 ‘주체’로서 ‘중심’의 자리를 차지하는 반면 ‘대상’으로서 ‘주변’에 위치지워지는 여성은 ‘표지’되기 마련이다.
여기에는 ‘여성’이라는 젠더 자체가 감정과 수동성으로 특징지어지면서, 여성 소비자들을 열등하고 조작되기 쉬운 존재들로 바라보는 성差別(차별) 주의적인 관점이 내재되어 있다아 한 마디로 가부장제 사회에서 모든 文化(culture) 가치는 젠더화되고 그에 따라 위계화된다 따라서 멜로 장르가 철저하게 여성이라는 젠더와 결합된 ‘여성적’ 장르라는 사실은 멜로적 상상력의 核心(핵심)이 젠더간의 사회적, 심리적 관계 그리고 여성성과 남성성에 대한 정의(定義)는 물론이고 성역할을 둘러싼 갈등과 alteration(변화) 과정에 원천을 두고 있음을 함축한다. 그에 따른 갈등과 모순들은 좌절되는 사랑이나 억압된 섹슈얼리티 속에서, 감정이라는 내밀한 영역과 가정이라는 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해서 펼쳐지는데, 이 과정에서 ‘말로 다할 수 없는(unspeakable)’ 여성의 고통이 표현되고 젠더간의 권력 관계는 협상되며 강고해보이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일시적이나마 위협받게 된다
1970년대 이후 서구의 페미니스트들은 이런 멜로 장르에 theory 적, 비평적으로 몰두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