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아트] 사이보그적 未來(미래)로 접근하는 과학과 예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4:06
본문
Download : 미디어아트 발표자료.ppt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 ■육체를 권력의 기제들과 관련시켜 分析했으며, 특히 현대의 상황에서 ‘규율적 권력’의 출현에 집중했다. 육체는 권력의 초점이 되며, 이 권력은 전현대 시대에서처럼 육체의 외적으로 ‘표시하려’하는 대신 자기통제의 내적 규율에 복속시킨다. 육체는 보철장치들에 의해 점점 식민화 되어가고, 이식, 대체 조 직들, 인공기관, 인공수태, 유전공학 등은 소위 인간의 끝과 비인간의 스타트이 어디에 있는 지를 점점 더 확인하기 어렵게 만든다.
설명
1. 서양철학에서 보여지는 기계의 해체와 사이보그적 연구들
2. 장자의 호접몽과 중국(China)의 산해경의 존재들
3. 파이보그에서 사이보그로의 진행
4. 로봇/안드로이드/휴머노이드/사이보그 concept(개념) 정리(arrangement)
5. 강화 사이보그
6. 가상에서의 몸
7. 가상현실의 history(역사)
8. 가상현실의 現況
9. 성(姓)산업에서 보여지는 사이보그적 이미지
10. 사이버스페이스의 concept(개념)
11. 사이보그의 사회적 함의(含意)
12. 매트릭스 해설1
매트릭스 해설2
매트릭스 해설3
13. 사이보그적 예술작품으로의 진화를 꿈꾸는 작가들과 과학자들
1) 백남준에게서 보이는 사이버네틱스 작업의 흐름들과 한계
2) 미래를 앞 당긴 천재적인 과학자
케빈 워릭의 “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3) 스텔락의 행위 세계- 신체의 해체 이후 포스트 휴먼으로
4) 에두아르도 칵
<학자들에게서 보여지는 신체의 해체와 사이보그적 연구들> .테일러(Taylor)의 육체의 식민화 ■사이버스페이스 내에서는 옷을 바꾸어 입듯이 손쉽게 나 자신을 바꿀 수 있다 정체성 은 끝을 모르는 이미지의 놀이 안에서 무한히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일관성은 더 이상 덕목인 아닌 악덕이며, 통합은 한계다. .(1994) ■’육체강탈(body snatching)’, ‘육체의 식민화’를 언급하는 가운데, 사이보그의 도래가 공 공장 소와 사적 장소뿐만 아니라 외부와 내부를 분리시키는 장벽의 점진적 소거에 의하여 가능해졌다고 주장한다. 그가 <감시와 체벌>의 권력과 육체의 문제에서 <성의 history(역사) >의 육체와 주체의 문제로 이행하는 것은 분명 ‘육체’를 중심으로 한 것이기에 육체에 대한 생체정치의 變化(변화), 정체성 유지의 양상 變化(변화)에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레이(Gray)의 <사…(생략(省略))
Download : 미디어아트 발표자료.ppt( 48 )






1. 서양철학에서 보여지는 기계의 해체와 사이보그적 연구들, 2. 장자의 호접몽과 중국(中國)의 산해경의 존재들, 3. 파이보그에서 사이보그로의 진행, 4. 로봇/안드로이드/휴머노이드/사이보그 槪念 요점, 5. 강화 사이보그, 6. 가상에서의 몸, 7. 가상현실의 history, 8. 가상현실의 현재상황, 9. 성(姓)산업에서 보여지는 사이보그적 이미지, 10. 사이버스페이스의 槪念, 11. 사이보그의 사회적 함의(含意), 12. 매트릭스 해설1, 매트릭스 해설2, 매트릭스 해설3, , 13. 사이보그적 예술작품으로의 진화를 꿈꾸는 작가들과 과학자들, , 1) 백남준에게서 보이는 사이버네틱스 작업의 흐름들과 한계, 2) 未來(미래)를 앞 당긴 천재적인 과학자, 케빈 워릭의 “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 3) 스텔락의 행위 세계- 신체의 해체 이후 포스트 휴먼으로 , 4) 에두아르도 칵, , , download : 2778K
[미디어아트] 사이보그적 未來(미래)로 접근하는 과학과 예술
순서
1. 서양철학에서 보여지는 기계의 해체와 사이보그적 연구들, 2. 장자의 호접몽과 중국의 산해경의 존재들, 3. 파이보그에서 사이보그로의 진행, 4. 로봇/안드로이드/휴머노이드/사이보그 개념 정리, 5. 강화 사이보그, 6. 가상에서의 몸, 7. 가상현실의 역사, 8. 가상현실의 현황, 9. 성(姓)산업에서 보여지는 사이보그적 이미지, 10. 사이버스페이스의 개념, 11. 사이보그의 사회적 함의(含意), 12. 매트릭스 해설1, 매트릭스 해설2, 매트릭스 해설3, , 13. 사이보그적 예술작품으로의 진화를 꿈꾸는 작가들과 과학자들, , 1) 백남준에게서 보이는 사이버네틱스 작업의 흐름들과 한계, 2) 미래를 앞 당긴 천재적인 과학자, 케빈 워릭의 “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 3) 스텔락의 행위 세계- 신체의 해체 이후 포스트 휴먼으로 , 4) 에두아르도 칵, , , FileSize : 2778K , [미디어아트] 사이보그적 미래로 접근하는 과학과 예술 자연과학레포트 , 미디어 과학 사이보그 미래 예술
미디어,과학,사이보그,미래,예술,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다. 모든 것이 항상 떠다니게 되면, 누구나 아무도 아닐것이다. 인공자궁, 시험관아기, 인공지능과 컴퓨터 문해력 (literacy)은 육체와 정신의 기능들을 외부의 것이 더 이상 외부의 것이 아니며, 내부의 것이 더 이상 단순히 내부의 것이 아니게 되는 정도로까지 된다고 주장한다. 규율 기제들은 ‘유 순한 육체’를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