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 독서록 ]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에 대한 감상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1:20
본문
Download : ‘행복과 진리’는 공존할 수 없는가.hwp
그 책을 읽고 행복과 진리의 공존 가능성에 대해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본인이 어떻게 생각하든 그것은 본인의 자유의사에 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후자와 같은 진취적인 사고방식이 살아가는 데에는 훨씬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상대적으로 덜 행복한 어느 상황보다 지금의 내 상황이 더 살만하다고 느낄 때, 행복을 느낀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어차피 죽을건데 아웅다웅 살아 무엇하냐는 빈정거림, 그리고 살아가는 과정을 즐기면서 각자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는 정신, 이렇게 두가지 견해가 있다 그리고 실제로도, 사람들은 이 두가지 행동양식에 맞춰 살아가고 있다 주어진 삶에 순응하며 수동적인 자세로 살아가느냐, 아니면 개인이 추구하는 그 가치를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가느냐, 둘 중 하나다. 각자 자신의 계급에 만족하며, 주어진 소임을 불평 없이 해 나간다. 어떻게 판단하는 것이 딱히 옳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상대적으로, 비교할 대상이 있을 때, 그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행복은 절대적인 concept(개념)이 아니다. 人生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행복이 아니다. 여기에 등장하는 문명인들은 수면 주입식 교육을 받아 스스로를 행복하다고 계속해서 인식하여 왔다.
[감상 독서록 ]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에 대한 감상문(report)
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 올더스 헉슬리, 독후감, 감상문
Download : ‘행복과 진리’는 공존할 수 없는가.hwp( 54 )
- 본 문 일 부 -
행복. 누구나 그렇게 살기를 소원하지만, 또 누구에게나 막연하고 추상적인 관념이다.
진리를 꺼리는 문명사회
멋진 신세계에 대한 감상문입니다. 우리는 현재의 삶을 조금 더 긍정적으로 change(변화)시킬 수 있다고 확신을 가질 때, 그리고 진정 change(변화)시켰을 때, 행복을 느낀다. 이 사회는 알파, 델타, 입실론 등과 같이 여러 계급으로 나뉘어 있지만, 사회의 안정을 위협하지 않는다. 그리고 후자에서 말하는 그 ‘가치’는 바로 행복일 것이다. <멋진 신세계>가 말하는 행복은 곧 안정이다. ‘후자’그룹에 속하는 인간은 살면서, 그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한다.
행복과 진리는 공존 할 수 있다 아니, 공존해야 한다
우리가 찾아야 하는 행복
그럼 위의 정의에 입각해볼 때, 이것은 행복인가? 아니다. 그 책을 읽고 행복과 진리의 공존 가능성에 대해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순서





- 목 차 -
설명
멋진 신세계에 대한 감상문(report)입니다. 물론, 행복을 언제 어느 상황에서 느끼느냐 하는 것은 개인마다 다르다. 즉, change(변화)란 없는 것이다. 세상에는 등산에 대한 두가지 견해가 있다 어차피 산을 올라가고 나면 다시 내려올건데 왜 올라가냐는 빈정거림, 그리고 산을 타고 올라가는 과정을 즐기면서 각자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는 정신, 이렇게 두가지다. 그리고 그 진정한 행복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은 분명 멋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