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건국의 정치 book report / (건국의 정치를 읽고나서 )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9:00본문
Download :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hwp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좌절과 어둠의 시대에 새로운 희망의 싹이 움트고 있었다. 왕의 신임을 잃어가던 신돈은 반역을 모의했다가 발각되어 처형당하고 공민왕은 친정을 선포하고 다시금 개혁을 천명한다.
순서
서평 건국의 정치 독후감 / 건국의 정치를 읽고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
(건국의 정치를 읽고)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장 고려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건국의 정치를 읽고)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장 고려의 가을, 제2장 개혁과 전쟁 공민왕 대 전반기의 정치, 제3장 좌절과 실정 공민왕 대 후반기의 정치, 제4장 우왕대의 폭정과 절망, 제5장 혁명 이성계의 집권과 조선건국, 제6장 영혼의 전쟁 유교-불교논쟁과 이단의 발견, 제7장 조선의 국가원리와 조선인으로 나뉘어져 있따 말 타는 법조차 몰랐다고 하는 공민왕... 공민왕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과신으로 인해 정치적 의사소통에 실패하였으며 전쟁의 여파로 인해 민심과 신하들의 지지를 잃었다. 개혁은 좌절되었다. 1365년 자신의 정신적 지주였던 노국공주가 죽자 왕은 정신적 아나키 상태에 빠졌고,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노국공주를 추모하기 위한 토목공사와 불공, 성적 유희에 탐닉함으로써 국가 경제를 파탄시키고 인간적 파멸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개혁을 지지하고 이를 수행해 나갈 수 있는 집단과도 결별하였으며 한 개인으로서나 제왕으로서나 건전한 판단력을 상실한 그의 앞에는 좌절만이 놓여 있을 뿐이었다. 이제현 이래 확산되기 처음 한 성리학이 이색을 중심으로 결집되어 새로운 정신적, 정치적 운동으...
(건국의 정치를 읽고나서 )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장 고려의...
설명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110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84%9C%ED%8F%89%5D%20%EA%B1%B4%EA%B5%AD%EC%9D%98%EC%A0%95%EC%B9%98%EB%8F%85%ED%9B%84%EA%B0%90-1109_01.gif)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110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84%9C%ED%8F%89%5D%20%EA%B1%B4%EA%B5%AD%EC%9D%98%EC%A0%95%EC%B9%98%EB%8F%85%ED%9B%84%EA%B0%90-1109_02_.gif)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110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84%9C%ED%8F%89%5D%20%EA%B1%B4%EA%B5%AD%EC%9D%98%EC%A0%95%EC%B9%98%EB%8F%85%ED%9B%84%EA%B0%90-1109_03_.gif)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1109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84%9C%ED%8F%89%5D%20%EA%B1%B4%EA%B5%AD%EC%9D%98%EC%A0%95%EC%B9%98%EB%8F%85%ED%9B%84%EA%B0%90-1109_04_.gif)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1109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8/%5B%EC%84%9C%ED%8F%89%5D%20%EA%B1%B4%EA%B5%AD%EC%9D%98%EC%A0%95%EC%B9%98%EB%8F%85%ED%9B%84%EA%B0%90-1109_05_.gif)
[서평] 건국의 정치 book report / (건국의 정치를 읽고나서 ) 이책은 총 7장으로 구성
Download : [서평] 건국의정치독후감.hwp( 22 )
다. 그러나 公式 적인 과정을 통해 정치적 자질이 입증된 적이 없는 신돈의 집권은 기존의 정치 세력의 반발을 낳았다. 집권 기간 동안 일정한 세력을 형성한 신하들을 가차 없이 숙청해온 공민왕은 당대의 가장 유력한 지식인들이자 개혁적 정치 집단인 이제현 그룹에 대하여도 끊임없이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중앙정치에 아무런 기반을 가지고 있지 않던 신돈을 발탁하여 그에게 정치를 일임함으로써 권문세족뿐만 아니라 초야의 신진 유학자들의 제거를 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