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here.kr 인식론 (주관과 객관) > gohere1 | gohere.kr report

인식론 (주관과 객관) > gohere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ohere1

인식론 (주관과 객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23:08

본문




Download : 인식론 (주관과_객관).hwp







주관/주체/주어[主觀/主體/主語]

영어로는 subject, 프랑스어로는 sujet, 독일어로는 Subjekt라고 하는데, 이는 모두 라틴어의 subjectum에서 온 말이다.
이런 전통을 이어받아 중세 스콜라철학에서는 오랫동안 ‘주관/주체’가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실재 대상을 뜻했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 이르러 ‘인식하는 자’라는 의미로도 쓰이게 되었다(cf.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제1권,…(생략(省略))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식론 (주관과_객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용례:
1. 일상적인 용법에서는 한 문장 속의 문법적 주어로서 동사를 필요로 하는 것.
2. 존재론적으로는 일정한 속성이나 술어(述語)의 반대말. 논리학에서 술어를 담는 실체.
3. 사물이나 객체(대상)을 인식하는 정신.
“주체/객체의 대립은 여러 가지 인식론의 중심 주제다.”
5. 서양 언어에서 정치적 권위에 복종하는 개인 또는 신민(臣民), 백성.
“the queen and her subjects”

* 기본 說明(설명) : 주관/주체는 일반적으로 1) 인식능력과 인식기능의 능동적 담지자(擔持者; Tr?ger)로서, 2) 사회적 실천을 바탕으로 합목적적으로 環境(환경)에 작용을 가하여 環境(환경)을 물질적?정신적으로 자기 것으로 만드는 ‘사회적 인간’을 가리키는데, 우리말로 ‘주관’이라고 할 때는 주로 1)의 의미로, 또 ‘주체’라고 할 때는 주로 2)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보통 두 용어가 혼용된다

* 역사(歷史)적 용법: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주관/주체’라는 말은 객관적인 여러 성질들의 지속적인 담지자, 즉 실체(實體)2)를 가리키는 동시에 명제의 논리적 주어를 가리켰다. , 인식론 (주관과 객관)인문사회레포트 , 인식론 주관과 객관
설명



순서

Download : 인식론 (주관과_객관).hwp( 87 )


인식론,주관과,객관,인문사회,레포트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1.gif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2.gif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3.gif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4.gif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5.gif 인식론%20(주관과_객관)_hwp_06.gif


인식론 (주관과 객관)







인식론 (주관과_객관)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라틴어로 subjectum이란 본래 ‘sub’(밑에, 아래) + ‘jectum’(jicere의 과거분사로 ‘던져진 것, 놓여있는 것’)라는 뜻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했던 그리스어의 ‘?ποκε?μενον’(hypokeimenon = 기체; 基體)1)과 같다.”
4. 실천의 주인공. 행위의 요인이 되거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모든 개인.
“사람의 자기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전체 12,51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oher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