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BIND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1:57
본문
Download : DNSBIND.hwp
● 영문 표기는 현재의 IETF의 표기법과 같이 대소문자의 구분이 없다.
● 외국과의 접속을 위해 인터네트 표준 및 관습을 따라야 한다.
KR 도메인 이하의 제 2 계층 도메인으로 ac, co, go, or, re, nm 및 지역명을 사용한다.
● 쉽게 지역, 기관, 단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메인명은 계층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표준은 제 2 계층 이하의 도메인 명 부여 체계를
규정한다. 이 제 2 계층 도메인의 적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 ac: 전문대학 이상의 대학/대학원(Academic Institutions)
● co: 기업/기업부설연구소(Companies)
● go: 중앙政府(정부)기관(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 or: 비영리기관/단체(Nonprofit Organizations)
● re: 政府(정부) 출연연구소(Research Organizations)
● ne: 네트워크 관리 기관(Network Management Organizations)
● 지역명: 특별시/광역시/도 및 이의 소속 기관, 보건소, 소방서, 도서관, 지역에 기반을
둔 회사/비영리단체, 개인가입자
지역명
도메인명
지역명
도메인명
지역명
도메인명
서울특별시
seoul
대전광역시
taejon
전라북도
…(생략(省略))
DNS(BIND) , DNS/BIND의약보건레포트 ,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DNS(BIND)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DNS/BIND
Download : DNSBIND.hwp( 23 )
다.
● 도메인명은 영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 현재 사용 중인 제 2 계층 도메인 부여 체계(ac, co, go. or, re, nm)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영문 표기는 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되 반달점(˘ )과 어깨점(´ )은 생략(省略)한다.
● 도메인명의 길이는 어떤 경우에도 256 문자를 초과할 수 없다.
1. DNS의 개념(槪念)
1.1. 이름과 주소
1.2. DNS 이전의 구현방법
1.3. DNS의 피료썽
2. DNS구조와 위임
2.1. DNS이름의 계층구조
2.2. TLD
2.3. 인터넷(Internet) 도메인 이름 체계
2.4. DNS관리
2.5. 국내 도메인 명 표준
3. DNS 네임 서비스 설정
3.1. BIND
3.2. resolver 설정
3.3. named 설정
4. DNS 오류 수정
4.1. host
4.2. Dnswalk
4.3. DOC (Domain Obscenity Control)
4.4. DDT(Domain Debug Tools)
4.5. DIG (Domain Information Groper)
4.6. 기타
[부록1]
[부록2]
● 도메인명의 각 레이블은 `.`으로 구분된다
● 국내 도메인명의 제 1 계층(First Level)은 KSC 5846(ISO 3166)의 2문자 국가 코드
에 따라 KR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