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2:29
본문
Download : [인문] 한학과 교육 과거제도.hwp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1) 삼국시대
1) 고구려 - 태학 설립(소수림왕), 평양 천도 후에 경당 설립(한학과 무술), 광개토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등이 유명
2) 백 제 -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개로왕의 국서, 무령왕릉의 지석, 사택 지적비의 비문 등이 유명
3) 신 라 - 울진 봉평 신라비, 진흥왕 때의 단양 적성비, 순수비의 비문, 진평왕 때의 임신 서기석 등이 유명
4) 한자 외에 지명이나 향가 등에는 이두 사용
(2) 통일 신라의 학술
1) 학술 - 의학, 병학, 역학, 산학, 율학 등이 발달
2) 한학의 발달
① 국학 설립 - 신문왕 때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의 이념 목적
박사와 조교를 두어 유학교육에 힘씀
전공과목별로 3개 부문으로 구분, 논어·효경 공통과목
② 독서 삼품과
㉠ 원성왕 때 학문 성적으로 관리 임명 → 진골 귀족의 반대로 실패, 학문 보급에 기여
㉡ 내용 - 상품은 논어, 효경, 좌전, 예기, 문선에, 중품은 논어, 효경, 곡례에, 하품은 효경, 곡례에 능통해야 하며, 5경, 3사, 제자 백가서에 능통하면 순서에 관계 업이 특채.
③ 학자
㉠ 강수 - 외교문서 작성에 능함, 답설인귀서
㉡ 설총 - 화왕계(도덕 정치), 경서에 능함, 이두 요점
㉢ 김대문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저술
㉣ 최치원 - 시무 10조 건의, 계원필경, 사산 비문 일부가 전해옴
※ 최치원의 사산 비명 : 숭복사비,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 성주사 낭혜화상비,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 탑비로 불교의 선종 및 유교, 노장 사상, 지리 도참 사상까지 포함하여 신라 하대의 사상의 복합화 현상을 보여준다. ,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3) 도당 유학생 - 김운경, 김가기, 최치원
(3) 발해의 한학
1) 학문이 발달 - 당과 문물 교류(서적 등 수입) → 당의 빈공과 급제…(省略)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1.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2.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3.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4.gif)
Download : [인문] 한학과 교육 과거제도.hwp( 81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한학과,교육·과거제도,인문사회,레포트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설명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