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2:40
본문
Download :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hwp
순서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에 상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습니다.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성과는 창원, 여천 등의 신공업기지와 청주, 군산, 광주 등의 지방공업단지의 건설로 공업기반을 구축하였고, 경부, 호남, 남해, 영동 고속도로의 건설, 주요국도 확충, 중앙선등의 전철화, 수도권 전철 등 기간교통망을 형성하였다. 국민생활환경시설은 경제성장을 위한 공업화를 우선 추진한 결과 주택, 상하수도 등 생활환경시설에 대한 투자가 생대적으로 부진하였고…(To be continued )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토이용관리법, 환경보전법 등이 제정, 시행되었고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을 설치하였다. 또한 대청, 안동 등의 다목적 댐과 아산, 장성등의 농업용댐, 영산강 하구언 등이 건설되는 등 수자원의 종합개발이 추진되었다.
이와같이 일부지역에 인구와 투자의 과도한 집중으로 에너지 물 등 주요자원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가용토지자원의 감소와 토지이용질서의 혼란을 가져왔다. 그 중의 하나는 대도시의 집중으로 나타난 국토의 양극화 현상으로 수도서울의 인구는 제1차 국토계획에서 책정한 계획인구를 훨씬 상회하여 전국 인구의 22.3%에 달하는 과밀 집중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괄목 할 만한 국토개발의 성과와 함께 국토개발과정에서는 많은 결점이 파생되었다.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 - 1981) 은 당시의 사회적 배경에 부응하여 경제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대규모 공업기반의 구축과 교통, 통신, 수자원, 에너지개발 등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에 중점을 두었으며, 目標(목표)달성의 수단으로 적은 자본의 투입으로 최대의 efficacy를 올릴 수 있는 거점개발방식이 채택되었다. 이에따라 경제성에 비중을 둔 국토개발로 경제성장을 효율적으로 뒷받침 하였으나 대도시의 인구집중과 지역간 격차발생등의 부작용이 수반되었다.57 ,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
57
다.
Download : 국토종합계발계획 전개과정.hwp( 42 )
3) 1970년대(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경제개발계획 또는 특정지역계획에 의존하여 개별적인 국토개발사업을 추진하던 1960년대를 보내고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로소 국토개발정책의 종합적인 청사진인 국토계획이 수립.추진되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