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와 향가의 characteristic(특성)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3:53
본문
Download : 고대가요와 향가의 특성 비교.hwp
10구체는 3장으로 나뉘어 앞의 4구가 1장, 다음 4구가 2장, 뒤의 2구가 3장으로 이를 낙구 또는 격구라고 한다.
특히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은 후대의 시조나 가사에서 그 흔적을 찾을수 있다
① 4구체에는 <서동요>,<풍요>,<헌화가>,<도솔가> 가 있는데,
도솔가를 제외하고는 구전되어 오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1.형식상 특징
형식상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뉜다.
Download : 고대가요와 향가의 특성 비교.hwp( 79 )
고대가요와 향가의 characteristic(특성) 비교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고대가요와 향가의 characteristic(특성) 비교 1.형식상 특징2.내용상 특징<속요의 특징><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
,인문사회,레포트
한국문학개론
고대가요와 향가의 특성 비교 1.형식상 특징2.내용상 특징<속요의 특징><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한국문학개론 , 고대가요와 향가의 특성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향가의 특징>
향가는 신라에서 고려 전기까지 창작, 향유된 서정시를 말한다.
신라 당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노래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향찰로 표기된 노래를 지칭한다.
② 8구체는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형식으로 <모죽지랑가>와 <처용가>가 있다아
③ 대부분의 향가는 10구체로 가장 완성된 상태이다.
설명
다. 그리고 낙구 첫머리에는 반드시 감탄사 ‘아으’를 두었다.
향가는 최초의 국문 시가이자 개인 창작시로 향가 이후 형성, 발전된 우리 고유 시가의 형식에 influence(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