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내용에 따른 민사소송의 종류 분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14:02
본문
Download : 소의 내용에 따른 민사소송의 종류 분류.hwp
이러한 의미에서 형성의 소는 창설적 effect를 목적으로 하며, 이미 있는 법률관계를 확정·실현시키는 선언적 effect를 목적으로 하는 확인·이행의 소와 구별된다된다.민사소송에서의소의내용에따른분류5 , 소의 내용에 따른 민사소송의 종류 분류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1. 들어가며
2. 이행의 소
가. 의의
나. 종류
다.
순서
소의 내용에 따른 민사소송의 종류 분류
소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하여 분류할 수 있다. 청구의 성질·내용에 따라, 제소의 태양·시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기능
라. 확인의 소의 이익과 소송물
마. 확인의 소에 대한 응답
4. 형성의 소
가. 의의
나. 종류
다. 따라서, 형성의 소를 창설의…(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소의 내용에 따른 민사소송의 종류 분류.hwp( 35 )
민사소송에서의소의내용에따른분류5
레포트/법학행정
소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하여 분류할 수 있다아 청구의 성질·내용에 따라, 제소의 태양·시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아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청구의 내용에 따른 분류이고, 여기에서는 청구의 성질·내용에 의한 분류와 관련한 이행의 소, 확인의 소, 형성의 소에 대한 槪念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겠다. 이행의 소에 대한 응답(판결)
3. 확인의 소
가. 의의
나. 종류
다.
설명
다.
4. 형성의 소
가. 의의
형성의 소(Gestaltungsklage, constitutive remedy)는 법률관계의 변동(발생·변경·소멸)을 일으키는 일정한 법률요건(형성권)의 존재를 주장하여 그 변동을 선언하는 판결을 구하는 소이다. 즉, 지금까지 존재하지 아니하였던 새로운 법률관계를 발생시키고, 기존의 법률관계를 변경·소멸시키는 내용의 판결을 해 달라는 것이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청구의 내용에 따른 분류이고, 여기에서는 청구의 성질·내용에 의한 분류와 관련한 이행의 소, 확인의 소, 형성의 소에 대한 개념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겠다. 형성의 소의 이익과 소송물
라. 형성의 소에 대한 응답
ⅰ) 소각하 판결 : 소송요건의 부존재를 확정하는 기판력
ⅱ) 확인판결의 기판력 : 청구인용판결- 원고의 주장대로 권리관계의 존부를 확정하는 효력, 청구기각판결은 - 원고 주장과 반대의 권리관계를 확정하는 효력, 즉 존재확인의 소의 경우에는 원고 주장의 권리관계의 부존재, 부존재확인의 소의 경우에는 원고 주장의 권리관계의 존재를 확정하는 효력이 발생한다. 어느 것이나 법률관계의 존부를 확정하고, 그 판단에 기판력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