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과 “우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8 20:45
본문
Download : “울”과 “우리”.hwp
울타리를 경계로 해서 안과 밖이 분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라는 말로 감쌀 수 있는 범위의 대상화란 역시 배타적 경계를 뜻한다는 점에서 둘 은 일치한다.
“우리”라는 말이 걸치는 범위는 유연하다. 울타리 역시 가장 큰 단위로는 국경이 있다 우리 인류라는 말이 낯설듯, 국경 이상을 넘는 울타리는 발견하기 어렵다. 그들간의 긴밀성을 따지는 이론으로 일체관, 도구관, 형성관 등의 언어... , “울”과 “우리”공학기술레포트 ,






“울”과 “우리”
,공학기술,레포트
다.
우리라는 말이 미치는 범위와 울타리가 둘러쳐지는 범위도 서로 닮은 꼴이다. 나 개인으로부터 처음 해서, 가족과 사회, 그리고 국가나 민족이라는 집단에 이르기까지 그것으로 감쌀 수 있는 폭은 확장될 수 있다 말하자면 상황(context)에 따라 적용범위가 결정될 수 있어서, 화용론적 융통성이 극히 유연한 말인 것이다. 우리라는 말이 가장 극대화하어 미칠 수 있는 범위는 민족 또는 국가까지다.
필자는 “우리”와 “울”이 동일 어원에서 나온 말일 것으로 믿는다. 즉 “우리”라는 말을 사용해 왔으며, “울”이라는 구조물을 만들어 왔던 사람들의 집단적인 인성이 그것들에 반영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어원과 범위, 그리고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우리”와 “울”이 둘이 아니며, 그것이 특히 우리의 언어적 文化적 현상에 있어서 특히 뚜렷하게…(투비컨티뉴드 )
대개 언어관이라고 하면 그것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뜻하는 말로 이해된다.순서
Download : “울”과 “우리”.hwp( 51 )
대개 언어관이라고 하면 그것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뜻하는 말로 이해된다된다. 하나는 언어현상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는 건축현상으로 파생되었을 뿐, 근원적으로는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했으며, 그 뿌리란 다름아닌 심리 또는 사고라는 입장이다. 우리 민족, 우리 나라라는 말이 그것이다. 앞에서 우리의 건축文化에서 울타리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대해 말한 바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우리말에서 “우리”라는 말 역시 빈도수에 있어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인다. 그들간의 긴밀성을 따지는 이론(理論)으로 일체관, 도구관, 형성관 등의 언어...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대개 언어관이라고 하면 그것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뜻하는 말로 이해된다 그들간의 긴밀성을 따지는 理論으로 일체관, 도구관, 형성관 등의 언어관이 있다 물론 이들은 理論상으로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언어와 사고 사이에 긴밀한 내적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해서 주장되고 있는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