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전서 그리고 유다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18:06
본문
Download : 베드로전서 그리고 유다서.hwp
베드로의 저작성을 주장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논증거리는 본문 가운데 보여 지는 예수의 말씀에 대한 지식이다. 그들은 서로 적대적이었다.베드로전서 그리고 유다서
,인문사회,레포트






베드로유다발표97
설명
1. 저자와 수신자, 저작시기와 장소
(1) 저자
모든 범 교회적인 서신서들 중에 베드로전서는 그 저자로 추정되는 사람에 의해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책이다. 수신자에 관련되어 베드로전서가 바울의 영역으로 보내어졌다는 주장은 우리가 다음에 보게 되었지만 애매한 문제이다. ③ 베드로전서의 바울 저술에 대한 의존은 베드로와 바울 사이의 역사(歷史)적인 관계성에 어울리지 않는다. . 유대인에게 있어서 토라는 그가 성장해온 종교의 심장부이지만 이 글의 저자에게는 초기 계시의 본질이 ‘장차 따를 그리스도의 고난과 영광’의 증거에 놓여져 있다아
② 이 서신은 평범한 문체가가 아닌 극도로 박식한 어휘를 구사하는 사람에 의해서 쓰인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모국어조차 쓸 수 없었던 베드로의 능력을 훨씬 벗어난다.
순서
약성경에서 가장 매혹적이며 목회적으로 풍부한 저작들 중 하나인 베드로 전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하늘의 은총이 담긴 완전한 언어”를 발견한 유다서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베드로유다발표97 , 베드로전서 그리고 유다서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베드로전서 그리고 유다서.hwp( 15 )
다. 또한 여기에 나타난 구약성서에 대한 지식은 문학적인 지식이지 기독교인이 되기 이전에 구약 종교를 몸소 체험한 자의 지식이 아닐것이다. ④ 예수와 공생애 사역의 전 기간을 함께 했음…(skip)
레포트/인문사회
약성경에서 가장 매혹적이며 목회적으로 풍부한 저작들 중 하나인 베드로 전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하늘의 은총이 담긴 완전한 언어”를 발견한 유다서에 대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이 서신이 진본임을 주장하려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지고 있다아 하지만 그들은 이 서신의 언어와 문체에 대한 책임을 대부분 실루아노(5장 12절)에게 돌림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심지어 고도로 훈련된 바울보다도 더 부드럽고 훌륭한 헬라어를 구사했다. 이 서신의 저자는 구약성서에 관련되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아 그는 이 서신 전체를 통해서 익숙하게 70인역 성서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아 이것은 이방인들에게 자신의 선교를 고려하지 못하고 헬라어 번역문으로 된 성서를 연구할 동기를 가지지 못했던 베드로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저작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논증은 무엇인가?
① 고급의 헬라어, 구약성경의 칠십인역본 인용등은 베드로전서가 갈릴리의 어부에 의해 저술되었다고 볼 수 없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