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6 07:24
본문
Download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hwp
1963년에 창립되었고, 회원도 경인지역에 몰려 있는 편이나 역시 전국 규모의 ‘철학연구회’는 젊은 만큼 ‘한국철학회’보다는 진보적인 철학 운동을 모색해 왔고, 시대 흐름에 맞춰 사회철학에 대한 관심도 깊이 있게 표명했다. 그후 매년 발간되다 1995년 가을 호(제44집)부터는 계간으로 발간될 만큼 면모를 갖추었다. 제1집부터 제50집(1997년 봄호)에 이르기까지 전문적 철학 논문만 총 447편이 실려 있는데, 1979년(제13집)까지는 70편, 1980년(제14집)이후에 377편으로, 1980/90년대에 와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아 그 가운데 독일철학 분야는 1979년까지 19(/70)편, 그 이후 86(/377)편, 그러니까 총105(/447)편으로 칸트관련 4 + 27편, 헤겔 관련 7 + 10편, 현상학·실존철학·해석학 관련 6 + 28편, 기타 2 + 2편이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
순서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모의 면에서 명실상부 한국의 철학계를 대표하는 기관이라 할 만하다. 1988년 가을에는 “한국에서의 맑시즘 수용”이라는 주제 아래, ‘일제하, 해방직후의 맑시즘 수용 - 신남철을 중심으로 -’(김재현), ‘쁘띠 부르조아 이데올로기로서의 비판이…(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hwp( 50 )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인문사회레포트 ,
다. 현재 900여명을 헤아리는 회원 수, 그리고 전국적인 고른 분포의 면에서도 최대의 철학자 모임인 ‘한국철학회’는 산하에 10여 개의 분야별 소학회 조직을 또한 가지고 있는데, 회원의 연령층이 두텁고 회원 간의 유대감이 느슨하다보니 단체 행동은 다소 느리고 소학회에 비해 비교적 보수적이라 할 수 있다아 이 학회의 기관지 『철학』은 1955년 창간되어 57년에 제2집이 발간된 후 10년 넘게 단절되었다가 1969년에 비로소 제3집이 속간되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창간호부터 1981년까지 마르크스나 좌파적 사회철학관련 논문은 한 편도 없다가 1982년 이후에 비로소 등장 그후 19편이 실려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