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학생운동약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1 07:36
본문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약사.hwp
72년 : 69년, 3선 개헌을 통과시켜 영구집권의 발판을 마련한 박정희는 전국 비상계엄(국회 해산, 헌법 효력 정지, 정당활동 금지 등)을 선언하고 11월 유신 헌법을 통과시켜 초헌법적 존재로 군림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민청학련」이 활동을 전개하였다.
74년 : 개헌운동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긴급조치 1호와 비상군법회의를 설치하는 긴급조치 2호, 「인혁당 재건위원회」, 「민청학련」을 만들어낸 긴급조치 4호 등을 통해 민중운동 말살 정책은 가속화되었다.
73년 : 김대중 납치 사건으로 반유신 투쟁이 본격화되어(고교생 결합) 개헌 청원 10만인 서명운동이 전개되었다.
79년 :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회」(이하 「남민전」)와 그 산하 학생조직으로 「민주구국학생연맹」(이하 「민학련」) 사건 발생. 박정희 정권의 몰락을 야기했던 ‘부마항쟁’등 정치적 격동의 시기로 이어지면서 결국 18년 정권은 ‘10.26 사건’으로 마감된다
학생운동 조직 및 논쟁
민청학련
유인물 「민중, 민족, 민주 선언」 제작 배포.
최초의 전국적 학생운동 연합조직 결성 시도.
고교생 조직화 시도.
자신의 조직적 위상과 展望(전망) 이 부재.
인혁당 재건위(경락연구회) 사건과 연루되었으나 조직 사건을 예견한 경락연구회의 시위 계획 중단 지침이 관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직접적인 지도를 받았다고 볼 수는 없다.
민학련
남민전의 산하 학생조직
전위조직 지도를 받는 학생운동 지도조직 형성의 문제 제기
극단적 탄압의 상황 하에…(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약사.hwp( 85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사회학]학생운동약사에관한모든data(자료)
[사회학]학생운동약사에관한모든자료 , 80년대 학생운동약사인문사회레포트 ,
80년대 학생운동약사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 시기 구분 ◇
◇ 전사. 70년대 ◇
◇ 제1기 (79년 10.26 - 83년 유화조치) ◇
◇ 제2기(84년 - 85년) ◇
◇ 제3기(86년 - 87년) ◇
◇ 제4기 (88년 - 91년 5월 투쟁) ◇
◇ 제5기 (91년 하반기 - 92년 대선) ◇
◇ 92년 대선 이후의 학생운동 歷史(역사)에 대하여 ◇
◇ 한국 학생운동사 학습을 마친 후의 토론 처리해야할문제들 ◇
◇ 참고資料 introduce ◇
◇ 전사. 70년대 ◇
歷史(역사) 개요 및 사건 일지
64년 인혁당, 68년 통혁당 사건은 70년대의 사회적 분위기를 극도로 위축시켰다. 그러나 비록 낭만적인 운동 범주를 넘지 못했지만 지속적인 반유신 투쟁은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