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행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22:34
본문
Download : 장학행정_2014467.hwp
제1절 장학의 정이
1. 장학의 어원
① 장학이런 영어 supervision에서 기원된 것으로 super(위에서) + vision(내려본다)의 합성어이다.
② 어원적으로 위에서 감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시학(inspection)이라 불렀다.
2) 김종철 - 보다 확대하여 다원적으로 법규적 · 기능적 · 이념적 측면에서 정이를 시도
① 법규적 측면 : 계선조직의 행정활동에 대한 전문적 · 기술적 조언을 통한 참모활동의 측면
② 기능적 측면 : 교사의 전문적 성장, 교육운영의 합리화, 학생의 학습활경 改善(개선) 을 위한 전문적 · 기술적 · 보조활동의 측면
③ 이념적 측면 : 교수의 改善(개선) 을 위해 제공하는 지도 · 조언활동의 측면
④ 접근상의 다원성일 뿐 장학의 궁극적 목적이 수업의 改善(개선) 에 있다는 점은 일치한다.
③ 일제하의 감시 · 감독적 장학행태와 어울려 장학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④ 오늘날에는 장학을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의 행위에 직접적으로 effect을 주는 활동으로 규정한다.
2. 장학의 정이 을 정이하는 관점 - Wiles & Bondi
① 교육행정이 일부 혹은 연장으로 보는 입장
② 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 강조를 두는 입장
③ 수업에 초점을 두는 입장
④ 교사와 장학담당자의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정이하는 입장
⑤ 경영의 한 형태로 정이하는 입장
⑥ 지도성의 측면에서 정이하는 입장
⇒ 정이 적 차이는 접근방법의 차이이고 그 궁극적인 목적은 교사를 통한 수업 改善(개선) 에 있따
3. 학자들의 견해
1) 《장학론》- 백현기 ≒ 주삼환,이종재
: 장학의 본질을 ‘교사들에 대한 지도 · 조언을 통한 수업의 改善(개선) ’이라 하였다.
4. 장학의 중요한 요소
① 장학을 어떤 관점에서 보든 궁극적으로 수업의 改善(개선) 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
② 그 대상이 교사라는 점
③ 장학을 정이하면.…(skip)
설명
장학행정
장학행정제8장장학행정 , 장학행정법학행정레포트 ,
장학행정
Download : 장학행정_2014467.hwp( 35 )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제8장장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