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8:59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hwp
(1) 가. ‘-시-’가 없어도 주격이 가능하다: Shon, Hong and Hong(1996), 임홍빈(1997:135)등.
나. 일치소가 주어와 일치를 보이지만, 주어에 의해서만 존대 일치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일치소를 설정할 경험적 근거가 미약하다: Y.-J. Kim(1992), J.-M. Yoon(1998), 임홍빈(1997)등.
다. (1다)의 논증은 격부여에 있어서 지배 concept(개념)이 절대적일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약화된다고 할 수 있따 실제로 동사구 내부 성분(成分)에 대해 주격이 부여되는 경우는 서술어가 상태 동사 혹은 형용사인 경우로만 국한되며, 이런 점을 들어 한국어의 격부여에 있어서는 지배 concept(개념) 외에 다른 concept(개념)이 더 유효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기존 연구들이 있음을 말하고 있따 (1라) 및 (1마)에 대한 것도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으로 직접적인 說明(설명) 이 필요함을 느낀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1가)는 ‘-시-’만을 일치소로 본 데 따른 잘못된 논증이라 할 수 있따 이는 ‘-시-’가 없더라도 ‘-∅-`형태로 일치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1나)에 대한 것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동사구 내부 성분(成分)에 상대하여도 주격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일치소에 의해 지배되지 않으므로 문제이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1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Download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hwp( 82 )
순서
1.2.2. 반대측
‘-시-’에 통사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이 제시하는 논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논자는 반대측의 논증보다는 찬성측의 논증이 …(drop)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1
다.
라. 일치소가 주격을 부여한다면 주격이 부여되는 모든 성분(成分)과 동사형이 일치를 보여야 하나 그렇지 못하다: K.-S. Kim(1996), J.-M. Yoon(1998)등.
마. 어미가 통사적 핵으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접속문의 두 접속항을 effect(영향) 권 안에 두어야 하나, ‘-시-’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J.-M. Yoon(1990)등.
1.2.3. 일치소 살리기
(1)에서 제시된 일치소 설정에 대한 반대 논증들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