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의 청동기에 대한 논의와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9:40
본문
Download : 영남지역의 청동기에 대한 논의와 해석.hwp
그 결과 철기시대의 국 보다 이전단계의 낮은 복합도의 지역집단도 국으로 인정하는 셈이 되거나 국의 concept(개념)을 조정할 필요가…(To be continued )
설명
영남지역의 청동기에 대한 논의와 해석
Download : 영남지역의 청동기에 대한 논의와 해석.hwp( 21 )
순서
영남지방의청동기에대한논의와해석
레포트/인문사회
영남지방의청동기에대한논의와해석 , 영남지역의 청동기에 대한 논의와 해석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정치집단의 크기가 지배자가 소유할 수 있는 청동기의 종류와 수량에 반영한다고 보고 , 기원전 3-2세기대의 충남지역의 청동기부장묘에 대하여 3등급으로 서열화시켜 논의된 바 있다아 즉 1등급은 이형동기, 동경, 무기, 2등급은 동경과 무기, 그리고 3등급은 무기류만을 부장한 무덤이라고 하였는 바, 김종일, 1994, <한국 중서부지역 청동유적·유물의 분포와 제의권〉, 《한국사론》 31,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1-66쪽
그리고 그것을 각각 국읍, 읍락, 촌의 지배자 무덤으로 추정한 바 있다아 권오영, 1996, 〈삼한의 ‘국’에 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문제는 그처럼 기계적으로 등급화되고, 각각의 지역집단에 대응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희준, 2000,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한국고고학보》 43.
발전 성숙한 국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읍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 중심된 읍락이 국읍이 된다된다.
2) 청동기부장묘의 서열화와 국의 범위
앞서 말했듯이 철기시대의 청동기와 관련해서 국에 대한 논의가 많다. 무말순일, 2002, 〈요령식동검묘와 국의 형성〉,유산강인구교수 정년기념 동북아고文化(문화)논총, 27-39쪽
그 논거는 Japan의 국으로 이해되는 지역집단의 특정집단묘에 조영된 무덤 들이 동검 또는 동모 1, 2점만 부장되는 事例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어떤 무덤의 주인공이 국이나 읍락의 우두머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인데, 무엇으로 기준으로 삼느냐 하는 어려움이 있다아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비파형동검 단계의 동검 1점을 부장한 무덤으로도 국의 우두머리로 볼 수도 있고 그렇게 주장되기도 한다. 그러한 국의 구성과 관련하여 각종의 청동기 셋트를 부장한 무덤의 주인공을 읍락의 우두머리, 혹은 국의 수장으로 이해하는 주장이 있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