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공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00:07
본문
Download : 바리공주.hwp
제주도에서는 전승되지 않는다.
② 부모가 병이 들어 약물이 필요하게 된다
③ 집에서 기른 딸들은 약물 길러 갈 것을 거절한다. 이 무가는 일명 무조(巫祖)신화라고 하는데, 이것은 무의 기능 중의 하나인 치병을 바리공주가 처음 했다는 데서 비롯한다. 서양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무당이 없다.
[바리데기](경상도)무가는 [오구풀이](전라도), [바리공주](서울), [칠공주](함경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오구굿에서 영송되는 서사 무가의 일종으로서 그 명칭은 `바리`, `버리다`라는 동사에서 온 것으로 `버려진 아이`라는 뜻이다. 병을 치료하고 앞날을 예언하며 신의 대리인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무당은 주술과 종교라는 두 요소를 공유한 것…(skip)
다.
구조적인 면에서 [바리데기] 무가는 `이승의 버림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靈界)에서 시련→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의 구조로 짜여져 있따 그리고 내용을 검토해 보면 첫째, 버려진 아기가 부모를 재회하기 위해서는 신적 능력을 지닌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혈연 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있따 둘째, 아이를 버린 부모가 병이 든 것은 불교의 인과 응보 사상의 influence(영향)으로 생각된다 셋째, 바리데기가 영계의 시련을 회피하지 않은 것은 효 사상의 강조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기 위한 것으로 가부장적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으며, 또한 결혼은 고생이라는 전통적 결혼관이 투영되어 있는 까닭이다.
④ 버린 딸을 찾아 약물을 길어 오게 한다.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바리공주1
Download : 바리공주.hwp( 78 )
바리공주
바리공주에 대한 글입니다.
⑦ 그 공으로 무조(巫祖)로 좌정(座定)한다.
⑤ 약물을 길러 가는 과정에서 많은 시련을 겪는다.바리공주1 , 바리공주감상서평레포트 ,
바리공주에 대한 글입니다. 넷째, 바리공주가 마지막에 무당이 되었던 것은 불교나 유교에 의해 사회적으로 미신처럼 여겨지는 사정 속에서 도교(무속)가 사회의 지지를 받거나 쉽게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① 부부가 딸만 일곱(또는 아홉)을 낳아 마지막 딸을 버린다.
[소재의 상징성]
전통적으로 무당은 신과의 교섭자요, 이승과 저승의 중개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