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특강- 한중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0:57
본문
Download : 국문학 특강- 한중록.hwp
Ⅱ. 본론
1. 한중록이란
- 조선 정조의 생모이며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빈(嬪)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회고록. 필사본 14종이 있으며, 사본에 따라 《한듕록》 《한듕만록》 《읍혈록》 등으로 불린다. 이 글은 歷史(역사)적 인물을 다룬 정계실화(政界實話)로서, 사용하던 한자숙어·특수한 존경어·궁중용어 등이 많아 사료적 가치가 크다. 또한 내간체로서 조선 여성의 이면사(裏面史)를 엿볼 수 있으며, 경어체의 수려한 문장으로 씌어져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 《계축일기(癸丑日記)》와 함께 궁중문학의 진수를 보여준다.
Ⅰ. 서론
Ⅱ. 본론
1. 한중록이란
2. 비교도서
3. 원본과 교주본,
현대물의 작품 내용 비교
Ⅲ. 결론
Ⅰ. 서론
고전에 대한 다시쓰기와 연령별 출간, 패러디 등이 유행하고 있는 요즘, 이런 때일수록 원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2. 비교 도서
(1) 이병기·김동욱, 『한듕록 閑中漫錄』, 교문사, 1984.
- 한페이지에는 원본 그대로의 순한글 영인본이, 다른 페이지에는 가람 …(drop)
설명
국문학 특강- 한중록국문학특강-한중록 , 국문학 특강- 한중록인문사회레포트 ,
국문학 특강- 한중록
국문학 특강- 한중록
국문학특강-한중록
Download : 국문학 특강- 한중록.hwp( 66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1947년 이병기(李秉岐)의 주해본(註解本), 61년 이병기·김동욱(金東旭) 교주(校注)의 활자본 《한듕록》이 나왔다. 우리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변형되고 현대어로 깔끔히 고쳐진 책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원본 그대로 고전을 접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따 이번 장에서는 『한중록』을 통해 고전의 원본과 현대어판을 비교해보고, 어떠한 방식으로 원본을 현대에 맞게 살리는 것이 바람직한지 생각해보기로 한다. 내용은 사도세자가 부왕(父王)인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음을 당한 참변을 주로 하여 국가 종사(宗社)에 관한 당쟁의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 등을 순한글 문장으로 묘사하였다. 저자가 회갑을 맞은 1795년(정조 19) 친정조카 수영(守榮)의 부탁으로 61세·67세·68세·71세 4번에 걸쳐 쓴 4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따 제 1 편은 저자의 어릴 때부터 50여년간의 궁중생활 이야기로 순수한 회고록이며, 나머지 3편은 손자인 순조에게 보일 목적으로 친定義(정의) 억울한 자초지종을 파헤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