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쟁의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8:51
본문
Download : 노동쟁의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hwp
”
3. 노동위원회에서 교섭미진으로 추가교섭을 요구하는 행정지도가 내려진 경우 조정을 거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노동조합이 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하여 조정절차가 마쳐지거나 조정이 종료되지 아니한 채 조정기간이 끝나면 노동조합은 쟁의행위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노동위원회가 반드시 조정결정을 한 뒤에 쟁의행위를 하여야지 그 절차가 상당한 것은 아닐것이다. .”
4. 조정전치를 위반한 쟁의행위의 정당성 상실 여부
노조법상 규정되어 있는 조정전치주의를 위반한 쟁의행위가 당연히 쟁의행위로서의 정당성을 상실하는지 여부가 문제되는 바 이에 대하여는 학설이 나뉘어진다.
이에 대해 이를 강행규정으로 보아 조정전치를 위반한 쟁의행위의 경…(drop)


레포트/법학행정
다.”
2. 임의 조definition 경우
“중재절차는 노동쟁의의 자주적 해결과 신속한 처리를 위한 광의의 노동쟁의 조정절차의 일부분이므로, 노동관계 당사자 쌍방이 합의하여 단체협약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사항에 대하여 중재를 해 줄 것을 신청한 경우이거나 이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근로조건 이외의 사항에 대하여도 중재재정을 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노동쟁의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 , 노동쟁의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법학행정레포트 , 노동쟁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
노동쟁의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요점
순서
노동쟁,조정,관련,주요,판례,정리,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노동쟁의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hwp( 18 )
노동쟁의 조정 관련 주요 판례 요점
설명
노동쟁의조정 관련 주요 판례 정리(整理)
1. 집단적 노사관계에 관한 사항의 조정 대상성여부
집단적 노사관계에 관한 사항의 조정 대상성여부와 관련하여 판례의 태도를 살펴보면,
“중재절차는 원칙적으로 노동쟁의가 발생한 경우에 노동쟁의의 대상이 된 사항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것이고,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제5호에서는 노동쟁의를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간에 임금, 근로시간, 복지, 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근로조건 이외의 사항에 관한 노동관계 당사자 사이의 주장의 불일치로 인한 분쟁상태는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분쟁이 아니어서 현행법상의 노동쟁의라고 할 수 없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러한 사항은 중재재definition 대상으로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