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문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2:12
본문
Download : 중세국어 문법.hwp
다.레포트/인문사회
중세국어 문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중세국어 문법인문사회레포트 , 중세국어 문법
Download : 중세국어 문법.hwp( 70 )
2. 옛말의 문법 : 중세 국어의 문법
1. 문자와 말소리
(1) 문 자
? 예의 전탁음의 규정 :
? 예의에는 연서, 병서, 부서, 성음, 가점 등의 부대 규정 명시
(2) 표기법
? 종성에는 원칙적으로 8자만 허용 :
? 기본 형태를 밝혀 적는 경우
? 곶 됴코, K동, 깊고, 맞나?며
? 에 주로 나타남
? 받침 있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 모음으로 처음 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원칙적으로 이어적기
? 끊어적기의 예
? 눈에, 일?, ?, 안아, 담아
? 에 주로 나타남
? 사잇소리의 쓰임
? 나랏 말?, ?곶 :
? 아바? 뒤, ? ? :
? 엄쏘리 :
(3) 음 운
가. 자 음
? ‘ㆆ’의 쓰임
? 니르고져 ? 배(홀빼) 이셔도, 도라오? 제(도라오실 쩨)
? 위치
기능 ←
? ‘ㅇ’의 기능
? 아?, 욕(欲), ?(此)
?
? 달아, ?이, ? 노? 소리오
? ←
? ‘ㅿ’는 ‘ㅅ’에 대립되는 유성마찰음
? ‘ㆅ, ㆀ, ㅥ’의 쓰임
? 치?시니, 도?, ?, 쥐? ?
? 슬?니, 다?니라 ?
? ‘ㅸ’는 ‘ㅂ’에 대립되는 유성양순마찰음
가. 모 음
? ‘ㆍ’는 후설저모음
? ‘ㆎ, ㅐ, ㅔ’는 ‘?’가 뒤에 오는 이중모음
? 종성에 쓰이는 ‘ㅅ’ :
2. 단 어
(2) 체언과 조사
나. 대명사
?…(생략(省略))
설명
중세국어,문법,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중세국어 문법
중세국어 문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