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새로운 역싸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7:04
본문
Download :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hwp
○ 기존의 민속학, 복식사, 제도사, 경제사, 사회사 등 학제와 전통 아래 해오던 방식에서 벗어나 있지는 못함
다. - 과거의 생활상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고조
- 생활사가 그저 무슨 무슨 생활에 관한 모든 주제를 포괄하는 것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기존의 정치사나 경제사 또는 사회사 속에서의 관련 부분을 모아놓은 데 지나지 않음
○ 현재 한국사학자들이 생각하는 생활사의 관념
- 조선시대의 가정생활, 의식주생활, 사회생활, 신앙생활, 여가생활, 언어생활, 의료생활, 노동생활 등으로 구분하는 방식
- ...
새로운 역사(歷史)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관념과 방향
- 기존의 정치사ㆍ경제사ㆍ사상사ㆍ사회사 등의 업적이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사 쪽으로 연구 방향이 이동
- 事例 연구를 지향한다.
- ‘생활사’라는 독립적인 분야로 볼 수 없음
Download :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hwp( 85 )
- 아날학파나 독일 일상사 등 서양학계의 새로운 경향의 영향
- 문제는 생활사가 어떤 관념 하에서 독립적인 분야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단지 하나의 분과에 머물지 않고 역사(歷史) 전체를 아우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가능성까지도 존재하는가를 물어보는 데 있음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609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A0%88%ED%8F%AC%ED%8A%B8%5D%20%EC%83%88%EB%A1%9C%EC%9A%B4%20%EC%97%AD%EC%82%AC%ED%95%99%EC%9D%98%20%EC%9E%85%EC%9E%A5%EC%97%90%EC%84%9C%20%EB%B3%B8%20%EC%83%9D%ED%99%9C%EC%82%A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B%B0%A9%ED%96%A5-6095_01.gif)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609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A0%88%ED%8F%AC%ED%8A%B8%5D%20%EC%83%88%EB%A1%9C%EC%9A%B4%20%EC%97%AD%EC%82%AC%ED%95%99%EC%9D%98%20%EC%9E%85%EC%9E%A5%EC%97%90%EC%84%9C%20%EB%B3%B8%20%EC%83%9D%ED%99%9C%EC%82%A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B%B0%A9%ED%96%A5-6095_02_.gif)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609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A0%88%ED%8F%AC%ED%8A%B8%5D%20%EC%83%88%EB%A1%9C%EC%9A%B4%20%EC%97%AD%EC%82%AC%ED%95%99%EC%9D%98%20%EC%9E%85%EC%9E%A5%EC%97%90%EC%84%9C%20%EB%B3%B8%20%EC%83%9D%ED%99%9C%EC%82%A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B%B0%A9%ED%96%A5-6095_03_.gif)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609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0/%5B%EB%A0%88%ED%8F%AC%ED%8A%B8%5D%20%EC%83%88%EB%A1%9C%EC%9A%B4%20%EC%97%AD%EC%82%AC%ED%95%99%EC%9D%98%20%EC%9E%85%EC%9E%A5%EC%97%90%EC%84%9C%20%EB%B3%B8%20%EC%83%9D%ED%99%9C%EC%82%A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B%B0%A9%ED%96%A5-6095_04_.gif)

○ 생활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요인 (우인수)
순서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이데올로기 투쟁으로 점철된 1970∼80년대 한국 현대사의 한 시대가 끝나고 그와는 성격이 다른 한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
레포트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
- 국가적ㆍ공적 측면보다는 개인의 사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리포트] 새로운 역싸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 최근 10여 년간 한국사학계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 최근 10여 년...
새로운 역싸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 최근 10여 년...
- 생활사 (history of everyday life)
- ‘모더니티’ 중심에서 ‘포스트모던’의 시대로
- 文化(문화)인류학ㆍ민속학 등 인접학문의 자극
- 뚜렷한 사학사적인 인식 아래서 이를 연구하고자 한 것은 최근의 일
- 북한학계의 생활풍습 연구의 영향
- 생활사는 보통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면서, 동시에 반복되는 일상의 저변에 존재하는 구조나 패턴까지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