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8:01
본문
Download :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hwp
일제 하 민족해방운동의 경험을 계승하여 해방의 assignment를 실현하는 核心(핵심)적 기반이 된 전평과 전농은 후에 미군정과 매판집단의 탄압을 받아 운동조직은 완전히 파괴되고 활동가들은 사망, 검거, 월북 등의 궤적을 보였지만, 당시 치열하게 전개된 혁명적 대중투쟁들을 조직, 지도해온 민중운동의 유일한 단체로서 그 의의가 크다.
Download :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hwp( 54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904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D%95%9C%EA%B5%AD%EA%B7%BC%ED%98%84%EB%8C%80%EC%82%AC%5D%20%ED%95%B4%EB%B0%A9%20%ED%9B%84%EC%9D%98%20%EB%86%8D%EB%AF%BC%20%EC%9A%B4%EB%8F%99-9046_01.gif)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904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D%95%9C%EA%B5%AD%EA%B7%BC%ED%98%84%EB%8C%80%EC%82%AC%5D%20%ED%95%B4%EB%B0%A9%20%ED%9B%84%EC%9D%98%20%EB%86%8D%EB%AF%BC%20%EC%9A%B4%EB%8F%99-9046_02_.gif)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904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D%95%9C%EA%B5%AD%EA%B7%BC%ED%98%84%EB%8C%80%EC%82%AC%5D%20%ED%95%B4%EB%B0%A9%20%ED%9B%84%EC%9D%98%20%EB%86%8D%EB%AF%BC%20%EC%9A%B4%EB%8F%99-9046_03_.gif)


순서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
1. 조선노동자전국평의회(전평)
설명
해방 후의 농민 운동
해방 직후의 노동, 농민 운동은 전평과 전농을 주축으로 하여 전개되어 나갔다.
다. 결성 당시 출석 대의원은 전조선에서 505명, 참가단체는 산별과 합동노조 16개, 노동조합분회 1194개, 조합원 50만 명이었다. 이러한 작업을 빠른 속도로 진행시킬 수 있었던 것은 1930년대 이후 혁명적 노동운동의 기반이 산업별 조직으로 존재하였던 경험과 다수의 직업적 운동가들의 가담으로 인해서였다. 여기서는 전평, 전농의 조직과 운동노선, 그들의 활동과 결국 실패로 끝나게 된 원인(原因)을 알아보고 그들에 대해 나름대로 평가를 해보았음 한다. [한국근현대사] 해방 후의 농민 운동
8.15 후 노동자 대중은 전국 각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노동운동을 치열하게 전개하였으며, 그 기반 위에서 전국적이고 통일적인 노동자계급의 대중단체로서 1945년 11월 5, 6일에 걸쳐 전평 결성대회를 열었다.